통도사는 양산에 위치하고 있어 부산에서 1시간이내로 아주 가까운 사찰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어요. 그래서 어렸을때부터 부모님과도 나들이를 자주갔었고 연애시절, 결혼하고 나서도 가족나들이로 강추하는 곳이예요.
꽃구경에 산구경, 물고기구경, 저는 무교지만 마음이 차분해지고 위안을 주는 그런 곳으로 봄이면 봄대로 가을이면 가을대로 너무 멋진 곳입니다.
통도사 입구 진입로가 4군데에서 모이게 되서 3월 봄나들이철 주말여행시 3시 이전까지는 진입 시 매우매우 막혀요 주말기준 주차장 진입소요시간 1시간전후 예상 참고하셔요~
통도사는 2018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등재된 이유는 통도사가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포함된 한국의 7개 산사 중 하나이기 때문인데요,
아이들 일기 소재로도 좋고 다녀오면 몇번이나 얘기를 더 하는 곳이에요. 추천드립니다~
📍 통도사 위치 및 소개
✅ 위치
- 주소: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로 108
- 위치 특징: 영축산(1,081m)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낙동강과 인접해 자연경관이 뛰어남.
✅ 통도사 소개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로, 한국 3대 사찰 중 하나인 **불보사찰(佛寶寺刹)**입니다.
- 창건 연도: 646년(신라 선덕여왕 15년)
- 창건자: 자장율사(慈藏律師)
- 특징: 부처님의 진신사리(사리탑)를 모시고 있어 불상을 두지 않는 것이 특징.
- 별칭: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사찰", "불보사찰"
✅ 특징 및 주요 문화재
- 부처님의 진신사리 봉안
- 금강계단(국보 제290호)에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심.
- 불상이 아닌 사리를 중심으로 신앙이 형성됨.
- 다양한 문화재 보유
- 국보 및 보물 50여 점 보유.
- 국보 제290호 금강계단
- 국보 제144호 대웅전(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 중 하나)
- 보물 제1473호 영산전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2018년)
-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의 일환으로 등재됨.
- 1,300년 이상 지속된 수행과 신앙의 중심지.
✅ 주변 명소 및 방문 정보
- 통도사 서운암: 통도사의 대표적인 암자 중 하나로 연꽃이 아름다움.
- 통도사 자연 학습장: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이 찾음.
- 통도환타지아: 인근에 위치한 놀이공원. 저 어릴적 학창시절에 자주 방문했던 곳이죠,
- 방문 시간: 연중무휴, 오전 8시~오후 6시 (계절에 따라 다름)
- 입장료: 성인 5,000원 / 청소년 3,000원 / 어린이 2,000원
🌸 통도사 홍매화 🌸
✅ 개요
통도사의 홍매화는 봄철 가장 먼저 피는 꽃 중 하나로, 매년 2~3월이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며 많은 방문객과 사진작가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 홍매화 명소: 통도사 자장매(慈藏梅)
- 위치: 통도사 극락암 경내
- 특징:
- 신라 시대 **자장율사(통도사 창건자)**가 중국에서 가져와 심었다는 전설이 있음.
- 약 100년 이상 된 고목으로, 가지가 구불구불하며 예술적인 형태를 띔.
- 붉은색이 강한 진홍빛 꽃을 피워 ‘자장매’라는 이름으로 불림.
- 통도사에서 가장 먼저 피는 꽃 중 하나로,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상징적인 존재.
✅ 개화 시기
- 2월 말 ~ 3월 초 (날씨에 따라 차이가 있음)
- 만개 시기: 3월 초중순
✅ 홍매화 촬영 명소
- 극락암 홍매화: 통도사의 대표적인 매화 명소
- 통도사 경내: 다양한 종류의 매화가 곳곳에서 개화
- 서운암: 주변에 매화나무와 자연 풍경이 어우러짐
📌 Tip:
- 이른 아침이나 오후 늦게 방문하면 부드러운 햇빛 속에서 더욱 아름다운 사진을 찍을 수 있음.
- 주말에는 방문객이 많으므로 평일 방문 추천!
통도사의 홍매화는 그 자체로도 아름답지만, 천년 고찰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어우러져 더욱 운치 있는 장관을 선사합니다. 🌿✨
✅ 통도사의 유네스코 등재 배경
- 불보사찰(佛寶寺刹)
- 통도사는 불상을 모시지 않고, **부처님의 진신사리(사리탑)**를 모신 사찰로 유명합니다.
- 신라 선덕여왕 때(646년) 자장율사가 창건하였으며, 한국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 산사(山寺)로서의 역사성과 지속성
- 7세기부터 현재까지 1,300년 이상 지속적으로 수행과 신앙의 중심지로 운영됨.
- 유교 중심의 조선 시대에도 불교 전통이 끊기지 않고 유지됨.
-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축
- 신라 시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시대의 건축 양식이 남아 있음.
- 사찰이 산세와 조화를 이루며 배치됨.
✅ 함께 등재된 7대 한국 산사
- 통도사 (경남 양산)
- 부석사 (경북 영주)
- 봉정사 (경북 안동)
- 법주사 (충북 보은)
- 마곡사 (충남 공주)
- 선암사 (전남 순천)
- 대흥사 (전남 해남)
이들 사찰은 한국 불교의 전통과 수행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여행 > 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벚꽃 개화 사진명소 추천(+부산의 벚꽃 핫스팟) (9) | 2025.03.12 |
---|---|
항공권 비교 및 예약에는 '스카이스캐너' (+장단점 알아보기) (2) | 2025.03.02 |
김해공항 스카이 허브 라운지 이용 팁(렉스카드 만들면 무료~^^) (1) | 2025.02.28 |